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법 완벽 정리! 헷갈리는 취득세·등록세 차이부터 감면까지

by 오롯한 블로그 2025. 4. 10.
반응형

취등록세 계산법

1. 취득세 vs 등록세 차이

‘취등록세’라는 표현은 흔히 쓰이지만, 현재는 등록세가 폐지되고 취득세에 통합된 상태입니다. 2006년 이후 등록세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차량 취득 시 발생하는 세금은 모두 취득세로 통칭됩니다.

2.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 공식

 

자동차 취득세는 차량의 과세표준(차량가액 또는 시가표준액)에 아래 세율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취득세 = 과세표준 × 세율

  • 비영업용 승용차: 7%
  • 경차, 화물차 등: 4%
  • 전기차, 친환경차: 감면 적용

3. 차량 가격별 계산 예시

 

  • 신차 2,800만원 × 7% = 약 196만 원
  • 중고차 시가표준액 1,200만원 × 7% = 약 84만 원
  • 경차(1,500만원) × 4% = 약 60만 원

실제 납부액은 지역·차종·감면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감면 대상 및 조건

  • 전기차: 최대 140만 원 감면
  • 하이브리드: 최대 90만 원 감면
  • 경차: 50만 원 감면 + 교육세 면제
  • 장애인/국가유공자 차량: 전액 면제 가능

감면은 1회 한정이며, 명의자가 중복 신청 시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납부 방법과 유의사항

  1. 차량 계약 후 세무서 or 위택스에서 취득세 납부
  2. 기한: 차량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

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세가 붙고, 연체 시 이자까지 부과됩니다.

 

위택스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할부로 사도 취득세 내야 하나요?
A. 네, 할부 여부와 상관없이 차량 전체 가격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Q. 전기차는 무조건 감면되나요?
A. 차량가액 상한선, 지역 조건에 따라 일부 제한될 수 있습니다.

7. 마무리 요약

자동차 취득세는 차량 구매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세금입니다. 차량가격, 감면 조건, 등록절차에 따라 실 납부액은 달라지므로 반드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8. 신차 vs 중고차 계산 차이

신차는 출고가(부가세 포함), 중고차는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시가표준액은 감가율 반영으로 구매가와 다를 수 있습니다.

9. 취득세 외 추가 비용 요약

  • 번호판 발급비: 약 3만원
  • 인지세: 2천원~5천원
  • 공채 매입비: 일부 지자체만 해당

10. 딜러 계약 시 주의사항

견적서에 ‘취득세 포함 여부’, ‘등록대행 수수료’, ‘할부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 미확인 시 예상보다 수십만 원 추가될 수 있습니다.

11.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